세상의 모든 이야기

 

제사 지방쓰는법 : 어머니제사 지방 쓰는법 , 아버지제사 지방 쓰는법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는다.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 비(妣)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된다.

학생(學生)은 특별한 관직이 없는 경우를 말하므로 관직에 있던 경우는 관직명을 적을 수 있다. 학생 대신 처사(處士)라고도 쓰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才)나 수사(秀士) 라고 쓴다.

부군(府君)은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하며 아랫사람한테는 직접 이름을 쓴다.

여성 쪽은 유인(孺人)이라 쓰고 본관 성씨를 이어 쓰는데 사실 유인(孺人)은 조선시절 외명부의 종9품에 해당하는 명칭이었지만 그냥 벼슬없는 사람들도 함께 사용하는 단어. 가장 보편적으로 쓰는 '학생부군신위'는 영화 제목으로도 쓰인 적도 있는데, 벼슬하지 못한 보통의 남성을 의미한다.

학생이나 부군이 관직 안한 사람이 대상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만일 대상이 사무관(5급) 이상 직급의 공직생활을 한 적이 있을 경우, '학생부군신위'가 아닌 '(직급명) 부군신위'를 쓸 수 있다. 5급 이상의 공무원이라면 '관(官)'(관료)이라 부를 수 있는, 조선시대로 치면 과거(대과) 급제 이후에 해당하는 직급이라고 보아야 하기 때문인 듯 하다.

이런 경우 작고하신 분의 처의 작위는 무엇으로 적어야 할지 의문점을 가질수 있을텐데 이런 경우 유인이 아닌, 부인이라고 적으면 되고, 또 남편은 고위공무원이 아닌데, 아내는 고위공직을 역임했다면 지방을 쓸때 아내쪽은 해당되는 직위를 기재하면 되고 단순하게 생각해서 남편은 "학생부군신위"로 적으면 된다.

그런데 사실 9급 서기보도 관직은 관직이니 지방이나 위패에 쓰지 말라는 법은 없다. 다만 대한제국 멸망과 제사의 보편화로 인해 예법 체계가 무너지고 조선시대보다 공무원의 숫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생긴 관행으로 보인다.

 

제사 지방작성법 예시

한문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 필수사항: 安東金氏를 반드시 고인의 본관과 성씨로 바꾸어 넣을 것
* 선택사항: 學生/孺人 자리에 고인의 관직명을 넣을 수 있다.

한글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 필수사항: 안동김씨를 반드시 고인의 본관과 성씨로 바꾸어 넣을 것
* 선택사항: 학생/유인 자리에 고인의 관직명을 넣을 수 있다.

한문

남편

 

아내

 

형 내외

 

동생 내외

 

아들 내외



































































* 필수사항: ①安東金氏를 반드시 고인의 본관과 성씨로 바꾸어 넣을 것.
     ② 이름을 반드시 고인의 이름(성씨 제외)으로 바꾸어 넣을 것.
* 선택사항: ①學生/孺人 자리에 고인의 관직명을 넣을 수 있다.
     ② 亡 대신 故로도 쓸 수 있다.

한글

남편

 

아내

 

형 내외

 

동생 내외

 

아들 내외



































































* 필수사항: ①안동김씨를 반드시 고인의 본관과 성씨로 바꾸어 넣을 것.
     ② 이름을 반드시 고인의 이름(성씨 제외)으로 바꾸어 넣을 것.
* 선택사항: ①학생/유인 자리에 고인의 관직명을 넣을 수 있다.
     ② 망 대신 고로도 쓸 수 있다.

 

 

 

 

2019/05/13 - [역사/한국] - 제사 상 차리는 법

 

 

제사 상 차리는 법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제사상차림(진설법)이란 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제수 진설법(祭羞陳設法)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사 상차림의 양태가 지방마다 가정..

albawang.tistory.com

2019/05/13 - [역사/한국] - 표준 묘제 홀기 및 축문 , 묘제례순서

 

표준 묘제 홀기 및 축문 , 묘제례순서

순위 묘 제 례 순 서(墓祭禮 順序) 찬창 강신례(降神禮)를 올리겠습니다 1 헌관이하 참배자 일동은 묘정에 열을 지어 서십시오. 서립(序立) 2 삼헌관은 차례로 나와 손을 씻고 닦으십시오. 관수세수(水手) 3 초헌..

albawang.tistory.com

2019/05/13 - [역사/한국] - 제사 지방 축문 쓰는 법

 

제사 지방 축문 쓰는 법

종이재단법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지방은 깨끗한 한지에 길이는 주척(周尺)으로 한자(尺) 두치(寸)이고..

albawang.tistory.com

2019/05/13 - [역사/한국] - 제사 축문 작성 법 (축문 쓰는 법)

 

제사 축문 작성 법 (축문 쓰는 법)

1. 축문 작성법 [TOP] 축문이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조상에게 제사의 연유와 정성스러운 감회,그리고 간략하나마 마련한 제수를 권하는 글이다. 특히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것이 원..

albawang.tistory.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