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이야기

 

역사

시조 이돈수(李敦守)는 고려 때 신호위중랑장(神虎衛中郞將)을 지냈으며, 1218년 거란이 고려에 침입했을 때 거란을 방어하는 공을 세웠다. 고려사 조충전에 따르면 1217년 고려와 거란의 전쟁 때 조충(趙沖)이 서북면 원수가 되어 지방의 군사를 기다릴 때 경상도 안찰사 이적(李勣)이 군사를 이끌고 오다가 적을 만나 고립되자 이돈수(李敦守)와 김계봉(金季鳳)을 파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돈수의 아들 이양준(李陽俊)은 고려의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어사대부(御史大夫) 이부상서(吏部尙書) 등에 추증되었다.

처음 덕수 이씨는 이순신의 충무공가승(忠武公家乘)이라는 문헌에서 추밀공(樞密公) 이양준(李陽俊)을 시조로 하고 있었지만, 이율곡의 율곡가전 세계(栗谷家傳世系)에서는 시조가 이돈수(李敦守)라고 언급되었으며, 그 후에는 이돈수와 이양준 부자 관계로 확립되어 기술되었다. 이양준(李陽俊)과 이추밀(李樞密)은 동일 인물로 알려져 있는데, 이양준은 고려사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 이며, 추밀(樞密)이라는 이름은 별칭인지 시호인지 확실하지 않다.

실제 중시조는 이양준(李陽俊)의 아들로 알려진 인물은 이소(李召)로서, 고려 고종 때 통의대부(通議大夫)로 전법판서(典法判書)와 지삼사사(知三司事) 세자내직랑(世子內直郞) 등을 역임하고, 그 후손들이 누대로 세거해온 고려 개성의 지역이었던 덕수를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 덕수 이씨는 본관이 개성에 있고, 고려 시대 주요 벼슬에 등용되어 공을 세운 가문으로 정치적으로 친 고려적인 가문으로 알려져 있다.

덕수 이씨는 거란을 격파했던 시조 신호위중랑장 이돈수 무렵에는 무인 가문이었지만, 조선 중기에 문인파계가 생겨져 무인파계 집안과 문인파계 집안 둘로 나눠졌다는 것이 특색이며, 조선 중종부터 영조대에 이르는 약 300년간 성세를 보였다.

문성공파는 조선시대 문묘와 종묘에 동시에 종사된 율곡 이이를 배출했고, 문과 급제자 102명, 상신 7명, 대제학 5명, 공신 4명, 청백리 2명이 나왔다.

충무공파는 무과 급제자 267명, 삼도수군통제사 13명을 배출하였다. 충무공 이순신은 12세손이다.

항렬표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노(魯)
희(熙)

규(奎)
신(信)

민(敏)

영(永)

종(種)

열(烈)
환(煥)

재(載)

용(鏞)

호(浩)

상(相)

31세

32세

               

우(愚)

균(均)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