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김숭선(金崇善)은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조(高麗朝)에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해풍부원군(海豐府院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해풍(海豊)으로 하였다.
후손 김시창(金始昌)은 조광조의 추천으로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명종 때 효절(孝節)의 시호가 내려지고 경렴서원과 송계서원에 제향되었다.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태(泰) |
모(模) |
연(然) |
규(圭) |
진(鎭) |
용(溶) |
병(植) |
희(熙) |
재(在) |
종(鍾) |
31세 |
32세 |
||||||||
한(漢) |
식(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