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이야기

 

경상북도 성주군을 본관으로  시조는 이순유(李純由)로 신라 문성왕 때 이부상서를 지냈다.

성씨는 경주이씨로부터 갈라져 나왔으며 시조인 이순유는 알평의 후손으로 신라 말엽 이부상서를 지냈으며 경순왕조(927~935년)에 재상까지 올랐다.

문헌에 따르면, 이순유는 아우 이돈유(李敦由)와 더불어 기울어져 가는 신라의 마지막을 지켜본 충신으로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자 마의태자와 함께 민심을 수습하고 천년의 사직을 보존하기 위하여 구국의 방책을 기도하였으나, 끝내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름마저 극신(克臣)이라 고쳐 지금의 성주읍 경산리(京山里)에 옮겨 숨어 살았다고 한다.

이순유의 12세손 이장경(李長庚)은 고려 고종 때의 인물로 슬하에 다섯 아들 이백년(李百年), 이천년(李千年), 이만년(李萬年), 이억년(李億年), 이조년(李兆年) 이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치자 국왕은 그에게 특별히 삼중대광(三重大匡) 좌시중(左侍中)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지전리사사(知典理司事) 상호군(上護軍)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봉하였다.

 

충렬왕 이후 성주목(星州牧)의 지명을 따라 성주 이씨(星州李氏)라고 하게 되었다.

 

성주이씨 분파

  • 밀직공파(密直公派) - 이백년

  • 참지공파(參知公派) - 이천년

  • 시중공파(侍中公派) - 이만년

  • 유수공파(留守公派) - 이억년

  • 문열공파(文烈公派) - 이조년

성주이씨 항렬표 돌림자 (백파, 중계파)

 

 

23세: 口순(淳), 口수(洙)
24세: 상(相), 병(秉)
25세: 口희(熙), 口섭(燮)
26세: 재(在), 규(圭)
27세: 口철(鐵), 口석(錫)
28세: 택(澤), 영(永)
29세: 口식(植), 口근(根)
30세: 병(炳), 현(炫)
31세: 口기(基), 口배(培)
32세: 옥(鈺), 용(鎔)
33세: 口홍(洪), 口락(洛)
34세: 병(柄), 계(桂)
35세: 口형(炯), 口렬(烈)

 

 

 

 

TOP